모모네 농장...^&^*/유기농축산 정보

[스크랩] ??지렁이(지룡) 용도 및 효능

뜨락에. 2013. 10. 17. 21:07

 

지렁이(지룡) 용도 및 효능

 

2000년 이후 지렁이가 집중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2억 년 전 지구상에 나타나 오랜 세월 흙을 부드럽고 기름지게 만든 역할 때문이다.

인도 출신의 환경운동가이자 저술가인 반다나 시바는흙 속에서 보이지 않게 일하는 작은 지렁이는 사실상 하나의 트랙터이자 비료공장이며, 다목적 댐이라고 했다.

지렁이가 계속해서 흙 속을 헤집고 다니면 땅 속 공기의 양은 30%까지, 토양의 물 저장 능력은 20%나 높아진다.

지렁이가 사는 토양은 유기탄소나 유기질소 같은 영양성분을 더 많이 갖고 있다. 지렁이가 내놓는 배설물, 즉 분변토에 많은 영양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도시에서 아파트 복도에 항아리를 놓고 지렁이를 기르는 주부들도 있다. 가정에서 나오는 음식물쓰레기를 말끔히 먹어치우는 해결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최근 영국 레닝대 연구진은 지렁이가 오염된 토양의 정화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지렁이 사육 및 이용기술 발달로 정화조 슬러지 처리, 축산분뇨 처리, 자연농법 등에 등에 지렁이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로도 각광받고 있다.

의약품으로 쓰이는 건지렁이는 혈액순환 촉진, 뇌경색 완화 등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일본 및 중국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건지렁이 영양성분]

영양성분(100g) : 단백질 50~60%, 지방 6~10%, 섬유질 2~3%, 무기질 6~10%, 수분 7%, , 칼슘, , 비타민D3

*아미노산 : 아르기닌 10.07%(멸치의 3), 트립토판 4.41%(소간의 7), 티로신(간의 2.25)

*생지렁이 영양성분 : 단백질 10.5%, Fat- 2.0%. Ash-0.7%. 수분 84.8%.

* 폴리페놀 성분 : 용혈 성분인 룸부리틴, 해열성분인 룸부로페부린, 기관지평활근이완성분인 히포크산, 독성분 등이 들어 있다.

기관지 확장 작용 성분은 질소 화합물로서 2종의 염화금복합물이다. (C5 H4 ON4•AuCl3•H2 O). 또한 히포크산틴(C5 H4 ON4), L-글루타민산이 들어 있다.

지렁이를 메탄올로 우려 얻은 결정(함량 약 0.2%)은 자궁수축작용을 한다. 히포크산틴을 없앤 물질인 파라카에타 B1은 혈압낮춤성분이다.

독성분은 텔레스트로-룸브로리진으로서 혈구응혈소와 신경독의 독성분으로 되어 있다.

지렁이의 구성아미노산으로서 알라닌, 페닐알라닌, 발린, 로이신, 티로진, 리진, 글루타민, 트레오닌 등이 있으며 핵산분해물로서 크산틴, 아데닌, 구아닌, 구아니딘이 들어 있다. 콜린이 알려졌다.

 

[지렁이의 사용분야]

    낚시 미끼

    의약품 원료(혈전용해제)

    건강식품 원료

    화장품 원료

    양어 및 축산 사료

    식물 성장 촉진제

 

[약리작용]

01. 혈압낮춤작용 : 광지룡의 팅크제, 가루혼탁액, 온침액, 달임액 등은 마취한 개, 흰쥐, 고양이와 만성신성고혈압증인 흰쥐에 대하여 완만하고 지구적인 혈압낮춤작용을 나타냈다.

마취한 개에게 광지룡온침엑스 또는 알코올엑스 0.1g/kg을 정맥주사한 결과 혈압은 30~45분 후에 내려가기 시작하여 2~3시간 유지되었다.

정상 흰쥐에게 관위법으로 약 10g/kg을 먹인 결과 유사한 혈압낮춤작용을 나타냈으며 신성고혈압증 흰쥐에게 관위법으로 매일 50mg/kg 2주일 동안 먹인 결과 혈압낮춤작용을 나타냈다.

지렁이 팅크는 급성동물실험에서 완만하고 지구적인 혈압낮춤작용을 나타냈는데 그 작용은 히포크산틴보다 지구성이 세므로 단순한 히포크산틴의 작용이 아니라고 본다.

 

염화수은으로 히포크산틴을 없애고 이온교환수지로 분리한 성분인 파라카에타 B1은 마취한 개, 토끼오 정상 및 신성고혈압증 흰쥐에 대하여 뚜렷한 혈압낮춤작용을 나타냈다. 이 작용은 팅크제의 작용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나 팅크속에 혈압 낮춤 주요 성분이 있다고 본다.

 

룸브로페브린은 토끼의 혈압을 천천히 낮춘다.

Pheretima tochi liensis, Drawida japonica도 혈압낮춤작용을 나타냈다. 지렁이의 물, 알코올, 아세톤 우린액도 일과성 혹은 중정도의 혈압 낮춤 작용을 나타냈다.

지렁이 우린액을 토끼에게 주사한 결과 혈청 칼슘 함량은 낮아지고 혈청 칼륨고 콜린 에스테라제 함량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02. 활평근에 대한 작용 : 광지룡에서 얻은 함질소 성분을 흰쥐와 토끼의 폐에 관주한 결과 뚜렷한 기관지 확장 작용을 나타냈으며 모르모토실험에서 광지룡 달임액과 알코올 엑스는 히스타민과 필로카르핀으로 일으킨 수축작용에 길항하였다.

 

광지룡에서 얻은 인습성인 누른색의 바늘모양결정 0.1mg을 록크액 25㎖에 넣고 새끼 배거나 배지 않은 흰쥐와 모르모트의 떼낸 자궁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긴장도가 뚜렷하게 높아졌다. 0.3mg을 썼을 때에는 경련상태에 빠졌다.

새끼 배거나 배지 않은 마취한 토끼에게 1mg/kg을 정맥 주사한 결과 15~30분만에 자궁의 긴장도가 높아졌으며 1시간 30~3시간 유지 되었다. 8~10mg/kg을 정맥 주사한 결과 자궁긴장도가 즉시에 높아지고 혈압이 갑자기 내려가 죽었다.

 

지렁이에서 분리한 히포크산틴은 기관지 확장 작용을 나타냈다. 흰쥐와 토끼 관지에 광지룡의 90% 알코올 엑스를 관류법으로 실험한 결과 기관지 확장작용을 나타냈다.

 

03. 열내림작용 : 지렁이물 엑스와 룸브로페브린은 대장막대균독소와 온극법으로 발열시킨 토끼에게 좋은 열내림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디니트로페놀로 발열시킨 토끼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열내림기전은 먼저 체온조절 중추에 작용하고 연속적으로 약을 쓰면 높아진 열을 내리운다. 열내림작용은 안티피린, 피라미돈, 염산키닌보다 약하지만 안티피린과는 협력작용을 하였다.

 

04. 진정 및 진경 작용 : 지렁이의 온침엑스, 알코올엑스는 흰생쥐와 토끼에 대하여 뚜렷한 진정작용을 나타냈으며 코페인성 경련에는 길항작용을 나타냈다. 지렁이의 종류와 작은창자, 껍질 등 부위에 따르는 진경작용의 세기는 차이나지 않았다.

 

05. 억균작용 : 지렁이의 84% 에타놀엑스와 석유에테르엑스는 1:3200에서 결핵막대균에 대하여 억균작용을 나타냈다. 이것을 섭씨 100도에서 1시간 끓일 때 억균작용은 1/4로 낮아졌으나 없어지지 않았다.

 

06. 마취작용 : 지렁이 물엑스, 에타놀엑스, 아세톤엑스의 수용성 성분은 토끼의 각막을 마비시키는 작용을 나타냈다. 지렁이 꼬리부는 약산성 때에도 신속히 수축하는 반응을 나타내는데 국소마취약의 효과 측정에서 표면 마취 효과를 판단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07. 비육작용 : 지렁이를 오리 한 마리당 5~8마리씩 먹인 결과 비육에 해로운 영향이 없었다. 또한 식물성단백질보다 30%의 몸무게 증가를 나타냈다. 

 

08. 신경독작용 : 두꺼비좌골신경통표본을 만들어 좌골신경-근신경섬유의 흥분 정도에 대한 신경독작용을 키모그래프에서 관찰한 결과 지렁이 신경독은 신경섬유 흥분 전도성을 억제하였으며 완전억제시간은 27, 흥분전도속도는 24시간만에 2배로 낮아졌다.

신경독의 신경섬유흥분전도에 대한 작용은 가역적이었다. 몸무게 10~11그램되는 개구리의 가슴임파구에 신경독 1㎖를 주사하였을 때 개구리의 발끝과 배전면에 출혈성 반점이 나타났다.

 

기타 지렁이는 집짐승이나 가금의 단백질 먹이로 쓰이며 산업의학에서 토양오염도의 감시 동물로서도 쓰인다. 또한 화학공업에서 폐기물처리를 위하여 쓰인다.

 

독성 : 광지룡온침엑스를 흰쥐에게 정맥주사할 때 LD50 38.5g/kg이었다. 온침엑스 0.1g/kg을 흰쥐에게 관위법으로 45일 동안 주어도 독성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광지룡 주사액을 흰생쥐, 모르모트의 꼬리정맥 혹은 배안에 사람양의 450~720배로 주사하여도 죽은 것이 없었으며 흰생쥐의 배안주사에서 LD50 95~115g/kg이다.

지렁이 내장 가루로 온침엑스를 만들어 흰생쥐에게 정맥주사한 결과 LD50 38.5g/kg이었다. 또한 토끼, 흰생쥐, 개에게 관위법으로 혹은 정맥주사법으로 독성을 검토한 결과 비교적 낮았다.

 

응용 : 열내림약, 오줌내기약, 진정약, 독풀이약, 구충약으로 한번에 6~12그램을 쓴다. 또한 고혈압, 폐렴, 뇌막염으로 인한 열병, 심장성 및 콩팥성 붓기, 방광 및 요도의 염증성 질병, 기관지 천식 등에 쓴다.

 

금기 : 마늘과 소금을 함께 쓰지 말아야 한다. 열이 몹시 심하거나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

출처 : 꿈꾸는 농부
글쓴이 : 에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