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네 장터...^&^*/버섯&산야초

겨우살이

뜨락에. 2013. 5. 2. 21:43

겨우살이

 유럽등지에서 면역력을 키워주는 최고의항암식물로 항암효과가 뚜렷한것으로 입증된 대표적인식물이다.

민간요법으로 피부종양이나 유방암등에 줄기를 진하게 달여 고약을 만들어 발랐다고한다.

요즘 유럽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천연 암치료제가 바로 겨우살이 추출물이라고 한다.

독일에서는 한해에 300t 이상의 겨우살이를 가공해 항암제나 고혈압,관절염등의 치료약으로 쓰고 있다.

또한 스위스의 자연요법 의사들은 겨우살이와 머위를 제일 항암 작용이 강한 식물로 꼽았다.

그들이 쓴책의 한문구를 인용해 보면 특이한 기생 식물인 겨우살이는

어떤 나무에 붙어서 살고 통상비스쿰 알붐으로 알려져있다.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효과 때문에 암치료에 좋은것으로 증명되었다.

암이나 관절염 환자에게 매우 잘 들으므로 이두가지 병에 다좋다.

겨우살이는 물약이나 주사로 환자한테 쓸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우리 나라에서 자란 겨우살이가 유럽에서 자라는 겨우살이보다 항암효과가 훨씬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겨우살이는 독이 없고 모든 체질의 사람에게 맞으며 신진대사 기능을 좋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있어

어떤 암 환자이든지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다.


 

겨우살이의 주성분은 올레아놀산과 사포닌, 아미린, 아라킨, 비스친, 고무질 등인데,

이들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다른나라에서 실험한것에 따르면

동물 실험에서 겨우살이를 달인 물이 암세포를 77%억제했고,

흰 생쥐에게 이식한 암 세포의 성장을 90%이상 억제했다고 한다.

위암에는 겨우살이 생즙을 짜서 한잔씩 마시고 갖가지 암에 겨우살이30~60g

을 진하게달여 차마시듯 수시로 마시면 효험이 있다.

신장암과 간암에 특히 효과가 좋다고 한다.

 

 

겨우살이는 새들을 통해서 번식한다.

여름철에는 다른 식물의 그늘에 가려서 햇볕을 받지 못하므로 자라지 않고 있다가 가을이 되어

나뭇잎이 떨어지면 꽃을 피우고 겨울동안에 구슬처럼 생긴 연한 노란빛의 열매를 주렁주렁 맺는다.

이 열매는 겨울철 새들이 먹이를 구하기 어려울 때 새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이 열매에는 끈적끈적한 점액이 많이 들어 있는데 새들은 이 점액과 씨앗을 먹고 나서

부리에 붙은 점액을 다른 나무의 껍질에 비벼서 닦는다.

이때 끈끈한 점액에 붙어 있던 씨앗이 나무껍질에 달라붙어 있다가 싹을 틔우게 된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겨우살이는 가장 강력한 항암식물의 하나이다.

유럽에서는 암 치료에 가장 탁월한 효과가 있는 식물로 겨우살이를 꼽고 있을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민간에서 겨우살이를 달여서 먹고 위암, 신장암, 폐암 등을 치유한 사례가 있다.

겨우살이는 견줄 만한 데가 없을 정도의 훌륭한 고혈압 치료제이다.

고혈압으로 인한 두통, 현기증 등에도 효과가 있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도 탁월하다.

하루 30~40g을 물로 달여 차 대신 마신다.

 

 

* 신경통, 관절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겨우살이 전체를 독한 술에 담가 두었다가 1년 뒤에 조금씩 마시면 관절염, 신경통에 큰 효과를 본다.

겨우살이는 지혈작용도 뛰어나므로 여성의 월경과다증이나 갖가지 출혈이 있는 증상에 효과가 크다.

이뇨작용 및 안신작용이 강하므로 몸이 붓고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세에 치료 효과가 크다.

간경화나 암으로 인한 복수에 효과가 있으며 결핵성 당뇨병에도 좋다.

임산부가 겨우살이를 먹으면 태아가 건강해지고 편안해진다.

  

 

우리나라에는 약 5종이 자라고 있는데,

1. 꼬리겨우살이

2. 박달나무겨우살이

3. 참나무겨우살이(상기생)

4. 동백나무겨우살이:남해안 및 제주도에는 동백나무에 붙어 기생

5. 소나무겨우살이: 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간을 맑게하고 가래를 삭이며 지혈하고 해독한다.

 

 

'모모네 장터...^&^* > 버섯&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산나물  (0) 2013.05.22
두릅  (0) 2013.05.08
여러가지 자연산 약용버섯들....  (0) 2013.05.02
잔나비걸상버섯  (0) 2013.04.20
황철상황버섯  (0) 2013.04.20